React를 하기 전에 우선 JavaScript 문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
var / const / let
제일 기본적인건 var / const / let 모두 선언을 의미하는데
let / var 는 변경이 자유로운 변수
const는 한번 선언하면 값을 바꿀 수 없는 상수이다.
하지만 요즘은 var는 잘 쓰이지 않고 let /const 로만 쓰인다고 한다.
const a = 2;
a = 4; //a 는 위에서 선언한 값을 바꿀 수 없는 const로 선언했기 때문에 값 변경 불가
let b = 12;
b = 5; // b는 변경이 자유로운 let 으로 선언 했기에 값 변경 가능
for / forEach
var a= [0,1,2,3]
for(var i=0; i<a.length; i++){
var item = a[i];
console.log(item);
}
// 기존 for 문을 조금 더 경량(?) 화 해서 만든 문법이 아래 forEach
a.forEach(function(item){
console.log(item)
});
같은 Array에 들어있는 0,1,2,3을 출력하는 코드인데 확실히 아래에 있는 코드가 훨씬 깔끔하고 간결한 걸 볼 수 있다.
map
const c = [0,1,2,3];
const newA =[];
for(var i=0; i<c.length; i++){
var item = c[i];
newA.push(item*2);
}
console.log(newA); //출력 [0,2,4,6]
const newB = c.map(function(item){
return item*2;
});
console.log(newB); //출력[0,2,4,6]
Array.map 에 실행할 콜백 함수는 현재 값, 인덱스, map을 호출한 배열을 매개변수로 받는다
함수 내에서 반드시 새로운 값을 return 해줘야 한다
arrow function (화살표 함수)
함수 표현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표현이지 않을까 싶다
const f =(x,y)=>{
console.log(x,y);
};
f(7,6) //출력 7 6
const d =(x,y)=>{
console.log(x+y);
};
d(7,6) //출력 13
const e = (x,y)=>console.log(x,y);
e(1,2); //출력 1 2
이처럼 console.log로 출력 시 + - * 등을 사용하여 값을 출력도 가능하다.
template literals
const name = "강아지"
const text = "Hellow" + name ; //출력 Hellow강아지
const text1 = `Hellow ${name}`; // 출력 Hellow 강아지
기존 문법은 문자열 내 변수값을 보여주려면 "문자" + 변수명으로 사용을 했지만
` `(back quoto)로 감싸 문자열 표현도 가능하다
후기:
기본적인 문법공부는 항상 복습이 제일 중요한듯.....
'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act 독학 [State] (0) | 2024.11.09 |
---|---|
React 독학[Props] (0) | 2024.11.06 |
React 독학 [ JSX ] (0) | 2024.11.04 |
React 독학 [ Create React App / Node.js 설치] (0) | 2024.11.01 |
React 독학 [시작 - React란?] (1) | 2024.10.28 |